일본불매운동이 화제가 되는 요즘, 수입맥주 브랜드국가에대해 얘기해볼까 합니다٩(^ᴗ^)۶
- No.1 -
프랑스
'크로넨버그 1664 블랑'은 프랑스의 대표적인 수입맥주입니다!
1664블랑은 최근에 수입맥주 판매순위 5위에 올라가기도 했으며, 무서운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2017년에는 한국 판매량이 본고장인 프랑스를 제치고 1위에 오르기도 하였습니다.
- No.2 -
싱가폴
타이거맥주는 독특한 열대 라거 제조 방식으로 제조해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또 아시아시아 맥주로는 유일하게 전 세계 판매량 10위권 안에 속합니다.
- No.3 -
이탈리아
이탈리아 맥주로는 페로니 맥주가 있습니다.
이탈리아를 대표하는 라거 맥주로 고소하면서 씁쓸한 맛을 가지고 있습니다.
페로니 맥주는 옥수수를 원료로 어느정도 사용했다고 합니다.
(아사히 계열 주류)
- No.4 -
아일랜드
기네스는 아일랜드의 흑맥주로 씁쓸하면서도 달콤 쌉싸름한 맛을 가지고 있습니다.
보리를 볶아서 쓰기때문에 색이 까맣고 흑맥주의 특성을 잘 간직하고 있습니다.
- No.5 -
멕시코
멕시코라 하면 떠오르는 유명한 음식 중 하나입니다.
코로나는 페일라거의 일종으로, 라임 혹은 레몬을 곁들여 마시는 마케팅으로 유명합니다.
- No.6-
인도네시아
빈땅은 인도네시아어로 '별'이라는 뜻으로 인도네시아의 국민 맥주입니다.
알코올 도수 4.7도의 필스너 타입 맥주로 부드러운 목넘김과 깔끔하고 청량한 맛이 특징입니다.
- No.7 -
슬로바키아
대부분의 맥주에 백분율이 있으면 알코올 농도라고 생각이 되는데 슈타이거 맥주는
맥아 함유비율이 표기되어있습니다. 맥주의 원재료는 정제수,보리맥아, 홉,이스트로로 아주 간결합니다.
그래서 맛 또한 간결하고 깔끔합니다.
- No.8 -
필리핀
산미구엘(산미겔)은 스페인어로 성 미카엘을 뜻합니다.
동남 아시아 최대 상장 식품·음료·포장 회사이자 매출 규모로는 필리핀 최대 기업입니다.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리는 맥주 10대 브랜드 중 하나입니다.
- No.9 -
뉴질랜드
kgb라는 이름과 보드카를 보고 러시아라고 생각할 수 있으나 실제 원산지는 뉴질랜드 입니다!
알콜 도수는 5.0 이고 보드카에 맛을 첨가하고 희석한 것입니다. (아사히 계열 주류)
- No.10 -
중국
중국의 대표적인 수입맥주로는 하얼빈과 칭다오가 있습니다.
칭다오는 역사가 100년이 넘은 맥주로 세계적으로 유명한 맥주입니다.
다른 라거맥주들과 달리 쌀이 들어갑니다.
- No.11 -
벨기에
벨기에 맥주로는 스텔라와 호가든이 있습니다.
호가든을 밀이 들어가있는 밀맥주이지만, 오렌지껍질과 코리앤더 씨앗을 넣어 만들기때문에
향긋한 산미가 더해져있습니다.
- No.12 -
네덜란드
네덜란드의 맥주로는 하이네켄과 데스페라도스가 있습니다.
하이네켄은 축구를 좋아하시는 분이라면 알텐데요. UEFA 챔피언스 리그의 메인 스폰서로 유명한 맥주입니다.
정제된 쌉쌀함의 목넘김과 뒷맛이 라거맥주중에서 특별한 느낌을 지니고 있습니다.
그롤쉬-아사히 인수
- No.13 -
체코
체코의 유명한 수입맥주로는 필스너 우르켈,코젤,감브리너스 등이 있습니다.
필스너 우르켈과, 코젤은 체코의 맥주브랜드였으나 현재는 일본 아사히에 매각되었습니다.
- No.14 -
미국
미국 맥주로는 밀러,쿠어스,버드와이저등이 있습니다.
버드와이저는 매년 미국에서 판매량 기준으로 1등을 지키는 맥주입니다.
병은 한국의 OB맥주 공장에서 생산하지만 캔 제품은 미국공장에서 생산합니다.
- No.15 -
일본
항상 순위권에 있는 기린이치방,삿포로,아사히 등은 일본맥주 입니다
이치방과 아사히병맥주는 원산지가 일본으로 표기되어있지만 제조하는 곳은 중국이라고 하네요.
아사히는 여전히 판매순위 1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불매운동에 아사히가 1위에서 2위로 내려갔다고 합니다.)
산토리 맥주는 기린,아사히와는 다르게 100% 일본 국내 생산됩니다.
- No.16 -
독일
맥주하면 떠오르는 나라 답게 수입맥주중 독일맥주를 쉽게 찾으실 수 있을껍니다.
5.0 맥주/엘 맥주/리퍼비/파울라너/에딩거/쉐퍼호퍼 등이 있습니다.
파울라너는 진하고 달콤한 밀맥주로 향이 매력적입니다.
- No.1 -
프랑스
'크로넨버그 1664 블랑'은 프랑스의 대표적인 수입맥주입니다!
1664블랑은 최근에 수입맥주 판매순위 5위에 올라가기도 했으며, 무서운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2017년에는 한국 판매량이 본고장인 프랑스를 제치고 1위에 오르기도 하였습니다.
- No.2 -
싱가폴
타이거맥주는 독특한 열대 라거 제조 방식으로 제조해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또 아시아시아 맥주로는 유일하게 전 세계 판매량 10위권 안에 속합니다.
- No.3 -
이탈리아
이탈리아 맥주로는 페로니 맥주가 있습니다.
이탈리아를 대표하는 라거 맥주로 고소하면서 씁쓸한 맛을 가지고 있습니다.
페로니 맥주는 옥수수를 원료로 어느정도 사용했다고 합니다.
(아사히 계열 주류)
- No.4 -
아일랜드
기네스는 아일랜드의 흑맥주로 씁쓸하면서도 달콤 쌉싸름한 맛을 가지고 있습니다.
보리를 볶아서 쓰기때문에 색이 까맣고 흑맥주의 특성을 잘 간직하고 있습니다.
- No.5 -
멕시코
멕시코라 하면 떠오르는 유명한 음식 중 하나입니다.
코로나는 페일라거의 일종으로, 라임 혹은 레몬을 곁들여 마시는 마케팅으로 유명합니다.
- No.6-
인도네시아
빈땅은 인도네시아어로 '별'이라는 뜻으로 인도네시아의 국민 맥주입니다.
알코올 도수 4.7도의 필스너 타입 맥주로 부드러운 목넘김과 깔끔하고 청량한 맛이 특징입니다.
- No.7 -
슬로바키아
대부분의 맥주에 백분율이 있으면 알코올 농도라고 생각이 되는데 슈타이거 맥주는
맥아 함유비율이 표기되어있습니다. 맥주의 원재료는 정제수,보리맥아, 홉,이스트로로 아주 간결합니다.
그래서 맛 또한 간결하고 깔끔합니다.
- No.8 -
필리핀
산미구엘(산미겔)은 스페인어로 성 미카엘을 뜻합니다.
동남 아시아 최대 상장 식품·음료·포장 회사이자 매출 규모로는 필리핀 최대 기업입니다.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리는 맥주 10대 브랜드 중 하나입니다.
- No.9 -
뉴질랜드
kgb라는 이름과 보드카를 보고 러시아라고 생각할 수 있으나 실제 원산지는 뉴질랜드 입니다!
알콜 도수는 5.0 이고 보드카에 맛을 첨가하고 희석한 것입니다. (아사히 계열 주류)
- No.10 -
중국
중국의 대표적인 수입맥주로는 하얼빈과 칭다오가 있습니다.
칭다오는 역사가 100년이 넘은 맥주로 세계적으로 유명한 맥주입니다.
다른 라거맥주들과 달리 쌀이 들어갑니다.
- No.11 -
벨기에
벨기에 맥주로는 스텔라와 호가든이 있습니다.
호가든을 밀이 들어가있는 밀맥주이지만, 오렌지껍질과 코리앤더 씨앗을 넣어 만들기때문에
향긋한 산미가 더해져있습니다.
- No.12 -
네덜란드
네덜란드의 맥주로는 하이네켄과 데스페라도스가 있습니다.
하이네켄은 축구를 좋아하시는 분이라면 알텐데요. UEFA 챔피언스 리그의 메인 스폰서로 유명한 맥주입니다.
정제된 쌉쌀함의 목넘김과 뒷맛이 라거맥주중에서 특별한 느낌을 지니고 있습니다.
그롤쉬-아사히 인수
- No.13 -
체코
체코의 유명한 수입맥주로는 필스너 우르켈,코젤,감브리너스 등이 있습니다.
필스너 우르켈과, 코젤은 체코의 맥주브랜드였으나 현재는 일본 아사히에 매각되었습니다.
- No.14 -
미국
미국 맥주로는 밀러,쿠어스,버드와이저등이 있습니다.
버드와이저는 매년 미국에서 판매량 기준으로 1등을 지키는 맥주입니다.
병은 한국의 OB맥주 공장에서 생산하지만 캔 제품은 미국공장에서 생산합니다.
- No.15 -
일본
항상 순위권에 있는 기린이치방,삿포로,아사히 등은 일본맥주 입니다
이치방과 아사히병맥주는 원산지가 일본으로 표기되어있지만 제조하는 곳은 중국이라고 하네요.
아사히는 여전히 판매순위 1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불매운동에 아사히가 1위에서 2위로 내려갔다고 합니다.)
산토리 맥주는 기린,아사히와는 다르게 100% 일본 국내 생산됩니다.
- No.16 -
독일
맥주하면 떠오르는 나라 답게 수입맥주중 독일맥주를 쉽게 찾으실 수 있을껍니다.
5.0 맥주/엘 맥주/리퍼비/파울라너/에딩거/쉐퍼호퍼 등이 있습니다.
파울라너는 진하고 달콤한 밀맥주로 향이 매력적입니다.
'알아두면 편리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항 맨발걷기 좋은 길 (0) | 2020.08.27 |
---|---|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 시행 (0) | 2020.08.27 |
코로나 19 예방수칙 (0) | 2020.08.26 |
노화를 늧출수 잇다 (0) | 2020.08.06 |
나이 들어 생각해 두어야 할일 (0) | 2019.1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