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몽편(啓蒙篇)
1. 목판본 1책으로 저자와 연대는 미상이다.
2. 조선시대 서당이나 향교(鄕校)에서 아동에게 글을 가르칠 때, 천자문이나 유합(類合)으로 한자(漢字)를 익히게 한 다음 단계의 교재다.
3. 수편(首篇) ·천편(天篇) ·지편(地篇) ·물편(物篇) ·인편(人篇)으로 구성되어 있다.
4. 장절(章節)이 짧아 초학자가 구두(句讀)와 문의(文義)를 해득하는 데 비교적 쉽게 되어 있다.
내용
일종의 아동용 백과사전으로 언해본이 있어 여성교재로도 겸용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구성은 수편(首篇)·천편(天篇)·지편(地篇)·물편(物篇)·인편(人篇) 등 5편으로 되어 있다.
수편에는 천지만물·일월성신·강해산악(江海山嶽) 등의 자연현상과, 군신·장유·부부·붕우 등 인륜에 관한 간단한 소개가 있다. 그 밖에도 방위와 맛·소리·수에 관한 낱말이 수록되어 있어 문자교육에 적합하도록 배열되었다.
천편에는 우주와 천체에 관한 초보적인 해설과 10간(十干)·12지(十二支)의 설명이 있으며, 그 밖에 춘하추동의 계절변화가 서술되어 있다. 지편에서는 오악사해(五嶽四海)에 관한 소개와, 구름·비·안개·눈·서리 등의 자연현상을 음양론으로 설명하고 있으며, 오행(五行)에 관한 설명도 나와 있다.
물편에서는 동식물을 그 속성과 특성에 따라 유별(類別)로 분류, 제시하였다. 제사와 빈객에 쓰이는 음식 및 공물의 소개도 있으며,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촉하는 과실·꽃 등이 다양하게 제시되었다. 특이한 점은 산법에서 구구법을 수록하고 있다는 점이다.
인편에서는 부모·형제·부부·군신·붕우·종족 등 인간관계의 예의와 존대법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학문과 독서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구용(九容)·구사(九思)의 몸가짐을 알려주고 있다. 이와 같은 내용구성과 편찬방식은 조선시대 아동교재가 지녔던 보편적 경향을 답습하고 있는 것이다.
즉 ≪유합 類合≫·≪훈몽자회 訓蒙字會≫·≪아학편 兒學編≫·≪정몽유어 正蒙類語≫ 등 일련의 문자교육용 교재는 모두 천·지·인·동물·식물·주·식 등의 항목설정을 통하여 문자교육을 하였던 것이다. 그리고 산법이 소개되어 있어 윤리덕목 중심의 전통교재의 한계를 일부 극복한 사실이다.
또한 언해 및 토가 실려 있어 국어사 연구에도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저작연대의 추정도 가능하리라 여겨진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언해본이 소장되어 있다.
수편(首篇)
上有天(상유천)하고 : 위에는 하늘이 있고 |
下有地(하유지)하니 : 아래에는 땅이 있다. |
天地之間(천지지간)에 : 하늘과 땅 사이에 |
有人焉(유인언)하고: 사람이 있고 |
有萬物焉(유만물언)하니 : 만물이 있으니, |
日月星辰者(일월성진자)는 : 해, 달, 별은 |
天之所係也(천지소계야)요 : 하늘에 매여있고 |
江海山嶽者(강해산악자)는 : 강, 바다, 산은 |
地之所載也(지지소재야)요 : 땅이 싣고 있으며 |
父子君臣長幼夫婦朋友者(부자군신장유부부붕우자)는 : 부자, 군신, 장유, 부부, 붕우는 |
人之大倫也(인지대륜야)라: 사람의 큰 윤리이다. |
以東西南北(이동서남북)으로 : 동, 서, 남, 북으로 |
定天地之方(정천지지방)하고 : 천지의 방향을 삼고, |
以靑黃赤白黑(이청황적백흑)으로: 청, 황, 적, 백, 흑으로 |
定物之色(정물지색)하고 : 물건의 빛깔을 정하며 |
以酸鹹辛甘苦(이산함신감고)로 : 신맛, 짠맛, 매운맛, 단맛, 쓴맛으로 |
定物之味(정물지미)하고 : 물건의 맛을 정하고 |
以宮商角緻羽(이궁상각치우)로 : 궁, 상, 각, 치, 우로 |
定物之聲(정물지성)하고 : 물건의 소리를 정하고 |
以一二三四五六七八九十白千萬億(이일이삼사오육칠팔구십백천만억)으로 : 일,이,삼,사,오,육,칠,팔,구,십, 백, 천, 만, 억으로 |
總物之數(총물지수)하니 : 물건의 수를 센다 |
左首篇(좌수편)이라: 이상은 수 편이다. |
'알아두면 편리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계몽편(啓蒙篇) -지편(地篇) (0) | 2014.07.31 |
---|---|
계몽편(啓蒙篇) - 천편(天篇) (0) | 2014.07.31 |
베이킹소다 의 놀라운 효능 (0) | 2014.07.26 |
트리트먼트와 린스 컨디셔너의 차이 (0) | 2014.03.05 |
명심보감 권학편( (0) | 2013.08.11 |